난민인권센터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지] 난민인권센터 제11차 정기총회를 개최합니다. 참석 신청 "이메일/문자를 확인해주세요!"올해는 총회에서 더 많은 이야기 나누고 싶어 온라인총회를 병행합니다 :)회원가입 시 적어주신 연락처로 온라인 총회 링크(참석 신청 링크)를 보내드리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메일/문자 등록이 되어있지 않은 회원님께서는 refucenter@gmail.com 또는 02-6384-3213 (화-목)으로 연락 주세요. 카페통인 오시는 길 주소 )03036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9길 16 1층16, Jahamunro 9-gil, Jongno-Gu Seoul ROK, 03036 오시는 길 )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2번 출구 500m 가량 직진, 우리은행, 새마을금고와 형제마트 골목에서 좌회전 버스 )통인시장/종로보건소 정류장 하차0212, 1020, 1711, 70.. [재정보고] 2018년 1-3분기 재정보고 난센 10기회계 결산보고 Infogram [1월 후원자 명단] 1월의 난센을 후원해주신 분들 1월의 난센을 후원해주신 분들 CMS (452명) 강계수 강남규 강미리 강보경 강수일 강수지 강용자 강은정 강중권 강창성 고병주 고보람 고지혜 고한준 공시형 곽태예 구대희 구미소 구소연 구아름 권광희 권민정 권보람 권오경 권은구 길광숙 김건우 김겸 김경인 김관철 김광연 김규환 김돈회 김동광 김동은 김동인 김동현 김두일 김마리아 김명훈 김미경 김미성 김미숙 김미정 김미현 김민석 김민선 김민재 김민지 김병규 김병학 김보경 김보명 김보미 김상균 김샛별 김선호 김성순 김성은 김성인 김세움 김세진 김세희 김소형 김수진 김수한 김수한 김승환 김승희 김심지 김아연 김연주 김영철 김영현 김예영 김예은 김용남 김유리 김유미 김유정 김유진 김윤숙 김은경 김은순 김은영 김은정 김은호 김은화 김장현 김재원 김정숙 김정화 김종.. 난민법 개악반대 1. 어쨌든 난민은 안된다는 국회의원들 난민법 개악(改惡)없는 2019년! 국회 난민법 개정안, 무엇이 문제일까? 1편. 어쨌든 난민은 안된다는 국회의원들 최근 유엔인종차별위원회는 대한민국 심의 최종견해를 통해 한국사회에 만연하게 퍼진 이주민과 난민을 향한 혐오에 깊은 우려를 표했습니다. 위원회는 작년 5월 제주도에 입국한 예멘인들의 난민 신청 이후 한국의 상황을 유심히 살폈습니다. 이후 대한민국이 난민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종식 시켜야한다는 것과 구체적인 사안들 (공정한 난민심사절차의 부재, 극도로 낮은 난민 인정률, 불인정사유서가 여전히 한국어로만 고지되는 점, 절차에 대한 안내가 부재한 것, 재정착난민 선정의 불공정성)을 짚어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한국에 던져진 이러한 국제사회의 우려는 한국사회 난민인권의 현주소를 정확히 짚어냈다고 할 .. 성소수자xHIV에이즈x난민 인권운동의 만남: 연대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무지개연대는 국경을 박살낸다성소수자xHIV에이즈x난민 인권운동의 만남: 연대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난민인권센터 고은지 ※ 본 원고는 성소수자차별반대무지개행동 등이 개최한 제 11회 성소수자 인권포럼에서 발표된 내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성소수자, HIV에이즈, 난민인권 운동의 연대의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활동을 톺아보며 난민인권운동을 중심으로 그간의 활동이 어떠한 의미들이 있었는지를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2015년의 어느 날,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이하 ‘행성인’)의 한 활동가가 난민인권센터(이하 ‘난센’)를 찾아왔습니다. 한 성소수자 난민이 행성인을 찾아간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당시 행성인은 국내 난민 지위 인정을 위한 구체적인 법률 지원의 고민을 이어가기 위해, 난센과 희망을.. 제주 예멘 이슈를 통해 본 한국 난민 정책 제주 예멘 이슈를 통해 본 한국 난민 정책 난민인권센터 고은지 ※ 본 원고는 2018년 8월 19일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의 에 최초 기고되었습니다. 2018년은 한국 난민 인권 운동 역사에 있어 기록적인 해가 되었다. 2017년 12월부터 제주-쿠알라룸푸르 비행편 정기 운항이 시작되며 짧은 시간 내에 500명이 넘는 예멘 사람들이 제주에 오게 되었다. 2018년 5월 2일 오후 76명의 예멘 사람들이 제주공항에 도착하며 출입국은 관련 정보를 언론에 제공하였다. 다음날 연합뉴스 등 10개 이상 언론이 ‘가짜 난민’의 제도 악용에 대한 우려를 폭발적으로 보도하기 시작하며 이른바 ‘제주 예멘 이슈’는 촉발되었다. 이 글에서는 제주 예멘 난민 이슈를 둘러싸고 일어났던 사회적 현상들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자 한다. .. 2019년도 법무부 난민관련 예산 2019' 난민관련 예산 (단위 : 천 원) 분류 분류상세 2019 예산 산출근거 난민인정심사 난민담당자회의 - 11,324 난민전문통역비 통역비 953,000 난민위원회운영 - 4,030 난민위원회참석비 - 28,800 8명*100,000원*36회 특정업무경비 난민전담공무원활동비 141,600 59명*200,000원*12월 난민소송 송달료 2,250 15건*150,000원 패소비용 17,.. <세대전환, 우리는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특강후기 특강 후기 난센은 작년 8월, 서울NPO지원센터에서 열린 특강에서 난센의 세대전환 경험을 나누고 왔습니다. 난센은 창립 후 약 8년차가 되던 해에 젊은 활동가들의 역량이 구축되면서 세대전환 과정을 거치게 되었는데요, 마침 다양한 분야의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이러한 세대전환의 고민과 경험 사례를 나누는 자리가 있었기에 고은지 활동가가 함께 했습니다. 다소 시일이 지났지만 소중한 경험을 나누면 좋을 것 같아, 서울NPO지원센터 블로그에 게시된 후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원문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8월 22일 오후, ..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