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민인권센터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여름 <활동ON> 순간들 6월 활동ON 순간들 7월 활동ON 순간들 8월 활동ON 순간들
여성난민 소식 전하는 하리타-난민인권 활동가 고은지 대담 ‘예멘 난민 혐오’…우리의 무지와 정부의 무능이 원인여성난민 소식 전하는 하리타-난민인권 활동가 고은지 대담① 하리타 * 이 글은 에 최초 기고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연재를 통해 여성난민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전하고, 독일 및 유럽의 난민 이슈를 조명하고 있는 하리타님이 ‘제주 예멘 난민’ 사태와 관련해 난민인권센터 고은지 활동가와 나눈 이야기를 싣습니다. [편집자 주] 작년에만 난민신청자 1만인데, 뜬금없는 ‘난민 공포’ 6월 20일은 ‘세계 난민의 날’이었다. 때마침 한국 사회는 제주도로 입국한 492명의 난민을 둘러싸고 갈등을 겪고 있었다. 한국은 1992년에 난민협약에 가입했고, 2001년에 첫 난민 인정 케이스가 나왔다. 낮은 난민 인정률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792명이 난민으로 인정받아 살고 있..
“불온한 세상을 향한 인권” – 세계인권선언 70주년 공동행동에 함께해요~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을 맞아, 다양한 행동과 행사가 준비되고 있습니다.자유와 평등, 인간존엄에 한 걸음 더 다가가기 위한 우리들의 외침과 행동을 함께 만들어요!난민인권센터에서는 기자회견과 인권포럼, 인증샷 캠페인 등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세계인권선언 70년, 불온한 세상을 향한 인권 – 세계인권선언 70년 인권주간 –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 전쟁의 비극을 기억하고 인간의 존엄을 약속하며 1948년 12월 10일 세게인권선언이 제정됐습니다. 그 약속은 지금 우리의 현실과 얼마나 가까운가요? 세계인권선언 70년, 다시 자유, 존엄, 평등을 새기며 세상을 더 불온하게 만들기 위해 인권을 외칩시다. / 인권주간 ◇ 인권 그림 전시회, “오늘, 인권을 그리다”인권 그림을 통해 한국사회 인권현..
2018년 늦가을 활동가 이야기 그린 늦가을 활동가 이야기를 쓸 때가 오니, 올 한해 활동가 이야기에 어떤 이야기를 썼었나 찾아보게 됩니다.올해는 도무지 활동가 이야기를 쓸 시간이 없었던지, 대부분 이전에 썼던 글을 가지고 왔었네요..그래서 올해의 마지막이 될 활동가 이야기가 아쉬워 짧게라도 써보려고 합니다. 얼마 전 추가노동 시간을 정리할 계기가 있었습니다. 추가노동 시간을 보고는 올해 정말 괴물처럼 일했었다는 생각이 세삼 들었습니다.올해 소통 채팅창만 30여개를 만들었습니다. 난민관련 활동의 연대를 모색했던 흔적입니다. 그만큼 한국에서 난민인권운동이 태동되고 가장 뜨겁고 중요한 한 해를 보냈던 것 같습니다.혐오공격을 받고, 상담을 하고, 기자회견을 하고, 싸우고, 집회를 하고, 청와대를 가고, 성명을 쓰고, 또 논평을 쓰고, 제주를..
2018년도 법무부 난민관련 예산 2018' 난민관련 예산 (단위 : 천 원) 분류 분류상세 2018예산 산출근거 난민인정심사 난민담당자회의 - 12,324   난민전문통역비 통역비 754,000   난민위원회운영 - 4,049   난민위원회참석비 - 19,200 8명*200,000원*12회 특정업무경비 난민전담공무원활동비 122,400 51명*200,000원*12월 난민소송 송달료 2,250 15건*150,000원 패소비용 37,5..
2018년 10월 셋째주-11월 둘째주 난민 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2018/10/16~2018/11/12) 언론은 시민사회에 난민과 관련한 정보와 의제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 중 하나입니다. 언론이 난민을 시혜 또는 혐오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않고, 난민의 권리에 기반한 올바른 가치확산의 매개가 될 수 있도록 난민인권센터는 격주로 난민과 관련한 국내외 언론을 모니터링하고 기사를 아카이브하고 있습니다. 2018년 10월 셋째주~11월 둘째주 난민 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2018/10/16~2018/11/12) 국내보도 (2018/10/16~10/29 국내보도 기사 생략) 2018/10/31 [다음뉴스] '난민인정 0%' 한국 사회의 민낯 2018/10/31 [노동자연대] 난민·이슬람 다룬 추천 책/영화/다큐 2018/11/01 [경향신문] 헝가리 이어 오스트리아도 유엔 이주민 협약 보이콧, EU 위협하는 동유럽발..
<난민에 대한 오해와 진실> 무료 전단지 신청 접수 (~12/15) ★ 무료 전단지 신청 접수★(중복신청가능) 난민인권센터는 난민네트워크, 국가인권위원회와 함께 2018년 상반기 온라인을 중심으로 확산된 난민에 대한 가짜뉴스를 바로잡고, 난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단지를 제작하였습니다. 이에 전단지가 필요한 개인, 단체의 신청을 받아 전단지를 무료로 배송해드리고자 합니다. - 신청링크: http://bit.ly/난민전단지신청 - 신청마감: ~2018년 12월 15일 - 배포시기: 신청 순으로 순차 배송 로드 중... - 문의 : 국가인권위원회 박혜경 (phk@humanrights.go.kr)- 난민에 대한 오해와 진실 리플릿은 국가인권위원회 홈페이지>공지사항 에서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9월 후원자 명단] 9월의 난센을 후원해주신 분들 9월의 난센을 후원해주신 분들 CMS (416명) 강계수 강남규 강미리 강보경 강수일 강수지 강용자 강은정 강중권 강창성 강혜지 고병주 고보람 고지혜 구대희 구미소 권광희 권민정 권보람 권오경 권은구 권인희 길광숙 김건우 김경인 김관철 김광연 김규환 김대영 김돈회 김동광 김동은 김동인 김동현 김두일 김명훈 김미숙 김미현 김민석 김민재 김민지 김범수 김병규 김병학 김보경 김보명 김보미 김상균 김샛별 김선호 김성순 김성은 김성인 김세움 김세진 김세희 김소형 김수진 김수한 김수한 김승환 김승희 김심지 김아연 김연주 김영철 김영현 김예영 김예은 김용남 김원우 김유리 김유미 김유정 김유진 김윤숙 김은경 김은순 김은영 김은정 김은호 김은화 김장현 김재원 김정화 김종철 김종훈 김주원 김준길 김지림 김지연 김지영 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