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민인권센터

My Experience in South Korea We are looking for essay writers who will help promote the awareness of refugee rights in Korea. NANCEN wants to let the voice of refugees heard as they want to be heard in Korea society. We wish Koreans could come to understand that refugees are not to be feared or pitied. If you are interested in this project, please contact to refucenter@gmail.com, Ku. MY EXPERIENCE IN SOUTH KOREA AMAZING GRA..
2018 여름 활동가 이야기 소련 1. 난센에서의 1년을 뒤로 하고 (거창하게 말하자면) 인생의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한참 사무국이 정신 없을 때 자리를 비우게 되어 동료들에게 짐을 지우는 것 같아 마음이 무겁습니다. 사실 그닥 떠난다는 기분은 들지 않고 언젠가는 돌아돌아 난센을 다시 찾거나, 아니면 아예 떠나지 않고 주변을 맴돌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드네요. 이 기회를 통해 동료들에게 고맙다는 말을 하렵니다. 항상 배려해주고, 공감해주고, 응원해주고, 힘이 되어주고, 좋은 제안과 기회를 주셔서 고맙습니다! 존경할 수 있는 동료와 함께할 수 있어 행복한 1년을 보냈고 많이 배웠습니다. 2. 전례 없이 많은 관심이 난민을 향했고, 무겁고도 가벼운 말들이 넘쳐났습니다. 급속히 돌아가는 상황에 스스로가 태풍에 휩쓸린 나방..
[7월 후원자 명단] 7월의 난센을 후원해주신 분들 7월의 난센을 후원해주신 분들 CMS (399명) 강계수 강미리 강보경 강수일 강용자 강은정 강중권 강혜지 고병주 고보람 고지혜 고한준 구대희 구미소 구아름 권광희 권민정 권보람 권오경 권인희 길광숙 김건우 김경인 김관철 김광연 김규환 김돈회 김동광 김동은 김동인 김동현 김두일 김명훈 김미숙 김미정 김미현 김민석 김민재 김민지 김범수 김병규 김병학 김보경 김보미 김상균 김샛별 김선호 김성순 김성은 김성인 김세진 김소형 김수진 김수한 김수한 김승환 김승희 김심지 김아연 김연주 김영철 김예영 김예은 김용남 김원우 김유리 김유미 김유정 김유진 김윤숙 김은경 김은순 김은영 김은호 김은화 김장현 김재원 김종철 김종훈 김주원 김준길 김지림 김지연 김지영 김지운 김지헌 김지혜 김진 김진우 김탁 김태정 김한결 김항범 ..
[재정보고] 2018년 1분기 재정보고 1. 한 눈에 보는 1분기 수입과 지출 수입 항목별 상세 항목 내용 회비 CMS자동이체를 통해 납부해주신 정기 회비를 말합니다. 후원금 난민인권센터 계좌로 직접 이체해주신 회비를 말합니다. 보조금 서울시 에 공모 선정되어 인권교육/에세이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업수입 난민대상 생활비 긴급대출사업의 회수금을 말합니다. 사업 외 수입 이자수입 및 잡수입을 말합니다. 지출 항목별 상세 항목 내용 인건비 난센 활동가 급여와 4대보험료를 포함합니다. 사무관리비 복리후생비, 관리비, 임차료, 소모품비, 통신비, 발송비, 여비교통비, 회의비 등 사무국운영 및 관리 비용을 말합니다. 사업비 연대사업비, 캠페인비, 생활지원 및 의료지원비, 난민인권옹호사업비 등 실제 사업에 드는 비용을 말합니다. 2. 회계별 /..
[공지] 난민 반차별 위한 인권단체 간담회
Family Life in Seoul We are looking for essay writers who will help promote the awareness of refugee rights in Korea. NANCEN wants to let the voice of refugees heard as they want to be heard in Korea society. We wish Koreans could come to understand that refugees are not to be feared or pitied. If you are interested in this project, please contact to refucenter@gmail.com, Ku. Family Life in Seoul Victim Ever since m..
[난민기고] 가족의 서울살이 ※ 난민인권센터에서는 한국사회 난민의 다양한 경험과 목소리를 담고자 참여작가를 모시고 있습니다. 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문의: refucenter@gmail.com※ 본 게시물은 한국 거주 난민의 기고글로 난민인권센터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문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게시물은 난민인권센터와 저자의 허가 없이 무단 편집, 사용이 불가합니다. 가족의 서울살이 글 : 빅팀 대한민국에서 난민 신청을 한 이후 제 가족의 삶은 더 어려워졌습니다. 저희는 아이들 고등학교 때문에 서울에서 살고 있습니다. 서울로 오기 전에는 인천에서 살았습니다. 저희 가족은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교회에 갔는데 설교를 듣고 좋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며 결국 기독교로 개종하게 되었습니다. ..
2018년 7월 넷째 주 난민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2018.07.10~2018.07.23) 언론은 시민사회에 난민과 관련한 정보와 의제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 중 하나입니다. 언론이 난민을 시혜 또는 혐오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않고, 난민의 권리에 기반한 올바른 가치확산의 매개가 될 수 있도록 난민인권센터는 격주로 난민과 관련한 국내외 언론을 모니터링하고 아카이브하고 있습니다. 2018년 7월 넷째 주 난민 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2018/07/10~2018/07/23) 국내보도 2018/07/10 예멘 난민들, 살기 위해 8000km 제주로 왔지만.. 난민인정심사, '같은' 국제기준 그러나 '다른'판단 법무부 관계자는 와의 통화에서 "(법무부) 자체적인 내규를 갖고 있지는 않다. 해외 난민 인정 사례를 참고해 (박해 가능성을) 평가한다"며 "COI(국가정황정보)자료와 '난민 지위의 인정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