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For understanding each other We are looking for essay writers who will help promote the awareness of refugee rights in Korea. NANCEN wants to let the voice of refugees heard as they want to be heard in Korea society. We wish Koreans could come to understand that refugees are not to be feared or pitied. If you are interested in this project, please contact to refucenter@gmail.com, Ku. For understanding each other Micheal Ang..
[난민기고] 서로를 이해하기 위하여 ※ 난민인권센터에서는 한국사회 난민의 다양한 경험과 목소리를 담고자 참여작가를 모시고 있습니다. 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문의: refucenter@gmail.com※ 본 게시물은 한국 거주 난민의 기고글로 난민인권센터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문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게시물은 난민인권센터와 저자의 허가 없이 무단 편집, 사용이 불가합니다. 서로를 이해하기 위하여 글 : 안젤로 이 글을 시작하기 전에 우선, 제 글을 읽어 주시고 저를 비롯해 같은 처지에 있는 난민들이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일터에서, 공공장소나 심지어 길거리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느끼는지 사람들에게 알려 줄 귀한 기회를 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저 마이클 안젤로는 약 3개월 전 인간이면..
[공지] 난민인권센터 제 10차 정기총회를 개최합니다. 난민인권센터 오시는길 자세히 보러가기 총회자료집 바로 보기 전체보기 버전 한 쪽씩 보기 버전 활동보고서 바로 보러 가기 문의: refucenter@gmail.com, 02-712-0620(화~목)
[3월 후원자 명단] 3월의 난센을 후원해주신 분들 3월의 난센을 후원해주신 분들 CMS (378명) 강계수 강미리 강보경 강수일 강용자 강은정 강중권 강혜옥 강혜지 고병주 고보람 고순례 고지혜 구대희 구미소 권광희 권민정 권보람 권오경 권인희 길광숙 김건우 김경인 김관철 김광연 김규환 김대영 김돈회 김동광 김동은 김동인 김동현 김두일 김명훈 김미숙 김미정 김민석 김범수 김병규 김병학 김보경 김보미 김상균 김샛별 김선호 김성순 김성은 김성인 김세진 김소형 김수진 김수한 김승환 김승희 김심지 김아연 김연주 김영철 김예영 김예은 김용남 김원우 김유리 김유정 김유진 김윤숙 김은경 김은순 김은영 김은정 김은호 김은화 김장현 김재원 김정숙 김종철 김종훈 김준길 김지연 김지영 김지운 김지헌 김지혜 김진 김진우 김탁 김태정 김한결 김항범 김해영 김현미 김현수 김현아 ..
2018년 4월 첫째 주 난민 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2018.3.18~2018.03.31) 언론은 시민사회에 난민과 관련한 정보와 의제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 중 하나입니다. 언론이 난민을 시혜 또는 혐오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않고, 난민의 권리에 기반한 올바른 가치확산의 매개가 될 수 있도록, 난민인권센터는 격주별로 난민과 관련한 국내외 언론을 모니터링하고 아카이브하고 있습니다. 2018년 4월 첫째 주 난민 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2018/3/18~2018/03/31) 2018/3/18 "인종차별 없는 세상 만들어달라"…이주민들 도심 집회 – 연합뉴스 난민네트워크,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이주공동행동 등은 18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2018 세계 인종차별철폐의 날 공동행동' 집회를 열었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동자노조 위원장은 이날 "지금 우리는 21세기에 살고 있다. 하지만 21..
[통계] 국내 난민 심사현황 (2017.12.31기준) [통계] 2017 심사현황 (2017.12.31기준) Infogram
Betsnat’s Life in South Korea We are looking for essay writers who will help promote the awareness of refugee rights in Korea. NANCEN wants to let the voice of refugees heard as they want to be heard in Korea society. We wish Koreans could come to understand that refugees are not to be feared or pitied. If you are interested in this project, please contact to refucenter@gmail.com, Ku. Betsnat’s Life in South KoreaBetsnat I, ..
[난민기고] 한국정부에 요청합니다. ※ 난민인권센터에서는 한국사회 난민의 다양한 경험과 목소리를 담고자 참여작가를 모시고 있습니다. 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문의: refucenter@gmail.com※ 본 게시물은 한국 거주 난민의 기고글로 난민인권센터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문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게시물은 난민인권센터와 저자의 허가 없이 무단 편집, 사용이 불가합니다. 한국정부에 요청합니다 글 : 베츠너트 저는 에티오피아인입니다. 한국에서 7년 동안 살았어요. 한국에서의 저의 생활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저는 한국에 오기 전에 한국이 그렇게 부유한 나라라고 기대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여기 도착하고 나서 한국인들이 얼마나 열심히 일하고 한 세대 만에 나라를 선진국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