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강좌/모집마감] 《한국사회와 난민인권》_ 제3강 "난민과 같다"라는 ‘조소’ 섞인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이 소문에는 난민에 대한 ‘낯섦’과 "우리는 그들과 다르며 절대로 같을 수 없다"라는 비-연결/단절의 의지가 함께 담겨-서려있습니다. 소문이 불어나고 모멸에 가까워질수록 우리와 그들 사이의 거리는 이전보다 더욱 멀어지고 연결되어 있던 끈들마저도 끊겨가거나 (잘못 연결되어) 엉켜갑니다. 그리고 소문은 이내 "우리는 그들이 아니다"에서 "그들로 부터 우리-국가-경제를 보호해야 한다"으로 '전화'됩니다. 올해의 《한국사회와 난민인권》을 여는 한국의 ‘상황성’은 이에 기초해있습니다. 서울시(후원)와 난민인권센터(주최), 모든이의민주주의연구소 교육연구팀(공동협력)이 함께하는 이 강좌는 난민인권에 대해 관심을 갖고 다양한 실천을 고민하는 모든 동료시민들을 위..
[공동성명] 청와대, 법무부의 난민 청원 답변에 대한 입장 [공동성명] 청와대, 법무부의 난민 청원 답변에 대한 입장 정부는 난민 절차와 처우에 있어서 난민협약 이행하고 인종주의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 1. 청와대와 법무부는 오늘(8/1) 오전 11시 50분 ‘난민법, 무사증 입국, 난민 신청허가 폐지’ 청원 답변 공개’라는 골자의 보도자료를 발행했다. 청와대는 답변에서 난민보호의 국제적 책무를 고려하되 국민의 안전을 위해 난민신청자의 신원 검증을 강화하고 난민제도를 악용하는 신청자는 정식 난민심사 절차에 회부하지 않도록 하고 신속한 난민 심사를 위해 심사인력을 늘리고 난민심판원을 신설하겠다고 답변했다. 난민네트워크와 제주 난민 인권을 위한 범도민 위원회는 이러한 정부의 안일한 대책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정부에게 난민 협약을 이행하고 인종주의를 극복하는 방향..
[재정보고] 2018년 1분기 재정보고 1. 한 눈에 보는 1분기 수입과 지출 수입 항목별 상세 항목 내용 회비 CMS자동이체를 통해 납부해주신 정기 회비를 말합니다. 후원금 난민인권센터 계좌로 직접 이체해주신 회비를 말합니다. 보조금 서울시 에 공모 선정되어 인권교육/에세이발간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업수입 난민대상 생활비 긴급대출사업의 회수금을 말합니다. 사업 외 수입 이자수입 및 잡수입을 말합니다. 지출 항목별 상세 항목 내용 인건비 난센 활동가 급여와 4대보험료를 포함합니다. 사무관리비 복리후생비, 관리비, 임차료, 소모품비, 통신비, 발송비, 여비교통비, 회의비 등 사무국운영 및 관리 비용을 말합니다. 사업비 연대사업비, 캠페인비, 생활지원 및 의료지원비, 난민인권옹호사업비 등 실제 사업에 드는 비용을 말합니다. 2. 회계별 /..
[공지] 난민 반차별 위한 인권단체 간담회
Family Life in Seoul We are looking for essay writers who will help promote the awareness of refugee rights in Korea. NANCEN wants to let the voice of refugees heard as they want to be heard in Korea society. We wish Koreans could come to understand that refugees are not to be feared or pitied. If you are interested in this project, please contact to refucenter@gmail.com, Ku. Family Life in Seoul Victim Ever since m..
[난민기고] 가족의 서울살이 ※ 난민인권센터에서는 한국사회 난민의 다양한 경험과 목소리를 담고자 참여작가를 모시고 있습니다. 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다립니다. 문의: refucenter@gmail.com※ 본 게시물은 한국 거주 난민의 기고글로 난민인권센터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문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게시물은 난민인권센터와 저자의 허가 없이 무단 편집, 사용이 불가합니다. 가족의 서울살이 글 : 빅팀 대한민국에서 난민 신청을 한 이후 제 가족의 삶은 더 어려워졌습니다. 저희는 아이들 고등학교 때문에 서울에서 살고 있습니다. 서울로 오기 전에는 인천에서 살았습니다. 저희 가족은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교회에 갔는데 설교를 듣고 좋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며 결국 기독교로 개종하게 되었습니다. ..
2018년 7월 넷째 주 난민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2018.07.10~2018.07.23) 언론은 시민사회에 난민과 관련한 정보와 의제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 중 하나입니다. 언론이 난민을 시혜 또는 혐오의 대상으로 바라보지 않고, 난민의 권리에 기반한 올바른 가치확산의 매개가 될 수 있도록 난민인권센터는 격주로 난민과 관련한 국내외 언론을 모니터링하고 아카이브하고 있습니다. 2018년 7월 넷째 주 난민 관련 국내외 언론보도 (2018/07/10~2018/07/23) 국내보도 2018/07/10 예멘 난민들, 살기 위해 8000km 제주로 왔지만.. 난민인정심사, '같은' 국제기준 그러나 '다른'판단 법무부 관계자는 와의 통화에서 "(법무부) 자체적인 내규를 갖고 있지는 않다. 해외 난민 인정 사례를 참고해 (박해 가능성을) 평가한다"며 "COI(국가정황정보)자료와 '난민 지위의 인정 기준 ..
[자료] 2018 난민인권센터 통계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