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난민인권센터

2009 세계난민의날(6.20) 캠페인 안내 매년 6월 20일은 UN이 정한 "세계난민의날(the World Refugee Day)"입니다. 한국에서도 2000명이 넘는 많은 난민들을 기억하며 이들과 함께 하는 다양한 행사들이 준비되고 있습니다. 난민인권센터(NANCEN)는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 한국지부와 공동으로 오는 6월 20일(토)에 2009 세계난민의날 캠페인 "난민, 우리와 함께"를 진행합니다. > 일시 : 2009년 6월 20일, 오후 3~6시 > 장소 : 대현공원(이화여대 부근 APM 앞 광장) * 찾아오는 길 : 지하철 2호선 이화여대역 2번 출구/ 50m 직진 (하단 약도 참조) > 주최 :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난민인권센터(NANCEN) > 후원 : 서울의료원(의료지원) > 주요내용 1. 박해를 ..
난민인권센터 새 홈페이지 OPEN!!! 난민인권센터 새 홈페이지 OPEN!!! 난민인권센터가 새로운 컨텐츠와 더 새로운 컨셉의 홈페이지를 OPEN 했습니다. 기존의 홈페이지(www.nancen.org)로부터 옮겨와서 TISTORY 블로그(nancen.tistory.com)에 새로운 자리를 잡았습니다. 이번에 새로 문을 연 블로그형 홈페이지를 통해 보다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고 더 많은 사람들과 활발한 의사소통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난민인권센터의 블로그형 홈페이지는 기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던 일방적인 형태의 정보제공이 외에 난민과 관련된 다양한 뉴스들을 빠른 시간 내에 업데이트 하고 난센의 다양한 활동 내역 뿐만 아니라 재정 상태와 사무국의 소소한 이야기들을 실시간으로 공개함으로써 더욱 활발하고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추구하고자..
JAR Workshop & International Symposium JAR Workshop & International Symposium 일본 난민지원협회(Japan Association for Refugees, 難民支援協會)는 2009년 6월 12일과 13일에 걸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난민보호에 관한 국제 워크샵과 심포지움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12일에 개최될 워크샵은 2010년 일본이 30명의 버마 난민을 재정착(resettlement) 프로그램을 통해 수용하기로 한 것을 맞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난민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재정착 프로그램의 경험을 공유하고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토론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자리입니다. 이 행사 호주, 홍콩, 일본, 말레이시아, 한국, 태국 및 미국의 전문가들만 참석하는 비공개 워크샵이며, 한국에서는 난민인권센터의 최원..
5월 수지결산서 수지결산서 ( 1기 : 2009-05 ~ 2009-05 ) 단체명 : 난민인권 회계단위 : (전체) 프로젝트 : (전체) 계정과목 합계 Apr-09 May-09 금액 금액 금액 《운영수지》 운영수입 6,626,800 0 6,626,800 사업수익 6,626,800 0 6,626,800 회비 1,320,000 0 1,320,000 일반회비 1,320,000 - 1,320,000 후원금 340,000 0 340,000 일반후원금 340,000 0 340,000 개인후원금 340,000 - 340,000 공모사업 4,966,800 0 4,966,800 공모사업 4,966,800 0 4,966,800 공모사업수입 4,966,800 - 4,966,800 운영지출 4,863,170 0 4,863,170 사업비용 4..
5월 후원자 명단 CMS정기출금(가나다 순) 강민호, 김규환, 김도환, 김선재, 김성수, 김성인 김종철, 김진우, 김진호, 김 탁, 김태정, 김 현 김형준, 김희진, 문아영, 박균희, 박승호, 박신영 박은정, 배윤상, 서경교, 서동일, 서민혜, 선안남 안진태, 오은영, 우준모, 유민지, 윤모아, 윤지혜 이나래, 이도형, 이문열, 이 미, 이미정, 이복기 이상환, 이상훈, 이수진, 이수현, 이재용, 이정주 장재홍, 장지인, 정선애, 조은형, 최가은, 최원근 최희승, 한명진, 홍세화, 홍 현, 황두원, 황미영 황지원 직접계좌입금 권상민, 김규환, 김용민, 김주용, 김형국, 박진옥 박한수, 양동수, 이창희
3-4월 수지결산서 운영수입: 17,669,000 평 생 회 비: 11,000,000 일 반 회 비: 1,745,000 개인 후원금: 3,925,000 단체 후원금: 945,000 물 품 판 매: 50,000 잡 수 입: 4,000 사업비용: 674,250 진 행 비: 79,450 장소임차료: 132,000 인 턴: 462,800 운영지출: 11,243,170 급 여: 4,000,000 관리비(월세): 1.313.840 소 모 품 비: 37,650 비 품 구입비: 1,279,000 회 의 비: 21,600 통 신 비: 4,370 여 비 교통비: 192,420 홍 보 비: 120,000 활 동 비: 113,880 도 서 인쇄비: 3,850 창 립 준비비: 3,224,420 지 급 수수료: 32,140 자금수지 자금수입/순자산..
3-4월 후원자 명단 평생회원 김완호, 이윤석/박안수 CMS정기출금(가나다순) 강민호, 김규환, 김선재, 김성수, 김성인, 김재원 김종철, 김진우, 김진호, 김 탁, 김태정, 김 현 김형국, 김형준, 김희진, 문아영, 박균희, 박승호 박신영, 박은정, 박진숙, 배윤상, 서경교, 선안남 안진태, 오은영, 유민지, 윤모아, 윤지혜, 이나래 이문열, 이 미, 이미정, 이복기, 이상환, 이상훈 이수진, 이수현, 이재용, 이정주, 장재홍, 장지인 정선애, 조은형, 최가은, 최원근, 최희승, 한명진 홍세화, 홍 현, 황두원, 황미영, 황지원 계좌입금 및 직접납입 김상균, 김성욱, 김용민, 김용현, 박석환, 심요섭 양동수, 정민경, 조효제, 무명1 단체후원 (주)가든디자인 숨 공감(아름다운재단) 함께하는시민행동21 한국방송공사(사미인곡)
창립 축사 - 홍세화 (한겨레신문 기획위원, 난민인권센터) 난민인권센터 창립 축사 홍세화 (한겨레신문 기획위원, 난민인권센터) 난민인권센터 창립총회에 참석하지 못해 무척 안타깝습니다. 이처럼 대신하여 축하의 인사말씀을 드리게 됨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프랑스에서 난민 신분으로 아내, 두 아이와 함께 20 년 동안 살았던 사람으로서 자연스럽게 귀국 후 한국에 와 있는 난민들의 처지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제 경험과 비교하게 되었습니다. 역사적 배경이나 문화적 차이가 있으므로 제 경험을 한국의 난민들이 겪는 일들을 동열에 놓고 비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저는 한국정부가 선진화를 주장하지만 난민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는 부족하고 한국사회구성원의 난민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환대'가 부족함을 확인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한 사회의 인권현실을 알려면 재소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