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 Activities

연약한 책임_연약한 기록들의 춤에 다녀와서

*일러두기

11월 24일 전솔비회원님과 동료분들이 기획한 공연 연약한 기록들의 춤에 다녀왔습니다. 공연이 조기 매진되어서 오고 싶었지만 못오신 분들을 위해 공연에서 느낀 바를 조금이라도 공유하고자 짧은 글을 적어보았습니다. 공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작은빛의 인스타에 들리셔서 공연사진들과 여러 동료시민들의 소감들을 확인하실 수 있으십니다. 공연소개는 이곳에서(수어통역). 난센은 앞으로도 회원님들이 기획, 주관하는 행사들에 종종 방문해보려고 합니다. 살짝 이메일로 알려주시면, 시간이 닿는 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연약한 책임_연약한 기록들의 춤에 다녀와서

글: 경주(난센회계팀)

 

난민은 상처이고 질문이다. 동료시민의 삶/세계에 대한 폭력이고 난입이다. 시민이 딛고 선 안정/감축화 된 세계를 찢고 뒤흔들며[각주:1](무기력과 말의 중지, 회피와 외면[각주:2], 혐오와 공격을 포함한) 무언가를 하게 만드는 피할 수 없는 요구이기 때문이다. 난민/사건 이후 동료시민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나와 난민의 동일성/차이, 관계, 관계에 대한 책임/연대(성)의 물음 앞에 놓인다. 시민은 휘말리고 묶이는 것이다. 난민은 동료시민에게 우리 삶의 근간으로 여겨졌던 (과거-현재-미래 순의) 역사의 연속성과 주체성을 앗아가고, 대신에 역사의 불연속과 무력함, 연약-의존-취약-수동성(에 따른 공통성[각주:3])을 알게 하는 (선험된) 지혜다.

 

난민을 동시대 인민의 유일한 형상이라고 말한 아감벤과 너가 세상의 끝에서 연약한 죽음을 맞고 있을 때, 나는 누구인가를 물었던 버틀러의 문장은 모두 난민이 자기 삶에 부리는 폭력과 난입을 소화하기 위한 동료시민의 몸부림이다(진단은 주체성 쪽에나 붙는 행위다). 예술행동그룹 작은빛의 공연 역시 질문으로서의 난민에 휘말려버린 동료시민들의 답변이자 다시-질문하기의 실천이다.

 

작은빛은 자신들이 만나온 '로힝야'이자 로힝야로 환원될 수 없는 기록들(말, 글)을 듣고-보고-번역하고 다시-쓰면서 이 질문을 통과하기 위해 노력한다. 1시간을 보고-듣고-읽으며 작은빛은 같은 공간에 있는 동료시민들에게 말한다. 우리가 현재 도달한 곳은 여기예요. 근데 아직도 잘 모르겠어요. 다만 연결되고 싶고, 번역하고 싶고 전달하고 싶어요. 그리고 우리의 질문이 당신에게도 닿았으면 좋겠어요.[각주:4]

 

공연 곳곳 연결과 연대를 위한 작은빛의 노력과 애씀이 가득했다. 신선아통역사님의 수어통역과 작가들의 기록(된 문장)에 대한 집착, 재현의 불의함을 고려한 재현들에서 나는 그것을 느꼈다. 공연 이후 나는 다시 내 현실(책상)로 돌아와 동료들이 남긴 영수증을 정리하며, 엑셀을 만지작 거린다. 질문은 떠나지 않는다. 아니 질문이 우리를 붙잡아두고 있다. 질문에 갇힌 사람들이 더 많아졌으면 한다. 가만히 가져보는 소망. 우리를 가두어 낸 질문 안에서 보다 함께 애도하고 기억하며 연약하게 웃고 춤출 수 있으면 좋겠다. 왜냐면 이런 연약, 수동/붙잡힘의 상태에서 우리는 어쩌면 더이상 무책임해지지 않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윤리적 폭력비판의 마지막 장).[각주:5]

 

기획자 중 한명인 전솔비선생님(난센회원님:D)을 기다리며, 공연을 보고-듣고-읽은 동료시민들의 담소를 듣고 있자니, 웃음이 났다. 작은빛이 한땀한땀 짜놓은 질문의 그물안에 그분들도 들어온 것 같아서다. 그럼 회원가입을!? 작가님들께 죄송해졌다. 이렇게 좋은 공연을 보고서도 내안에는 회계행정/후원의 코드만이ㅠㅋ 질문의 (그물)공간을 만들어준 작은빛에게 다시 한번 감사와 우정의 인사를 전한다.

 

난민인권센터 후원하기

 

https://youtu.be/BucTliYzomI

연약한 기록들의 춤 안내, 신선아수어통역사님

 

  1. 난민은 하나의 체계(system)이자 환경이며, 안정화 된/안전하다고 믿고 싶은 시민의 세계에 복잡성(Complexity)으로서 작동한다. [본문으로]
  2. 도망과 외면은 결코 쉬운 행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작가 백온유의 소설 페퍼민트에 등장하는 '가족돌봄청소년' 시안은 자신을 기특하다며/'요즘애들' 같지 않다며 부추기는 병실의 말들 속에서 자신이 놓인 실천의 자리와 도망/외면의 자리가 얼마나 근접한 지에 대해 생각한다. "나도 요즘애들인데, 대단한 희생처럼 보여도 막상 닥치면 다른애들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도망도 외면도 쉬운 일은 아니다. 나는 어쩌다가 그 사실을 일찍 깨달았을 뿐이다." 백온유, 2022, 페퍼민트, 12쪽. 우리가 실천이라 불러온 행위는 원래 투사들보다 겁쟁이들의 것이지 않았을까? 주저하고, 벌벌 떨며 뒷걸음질을 치다가 우발적으로/실수로 내딛어버린, 혹은 밀리고 밀려 (나도 모르게) 휘말려버린 순간과 장소들에 자리하는 것 아닐까? 겁쟁이들의 휘말림에 대해서는 도미야마 이치로(富山一郞)의 글들을 참고. 도망과 외면을 쉽지 않은 행위로 여기며(복원하며), 실천을 그의 바로 옆자리로 데려올 때 우리는 도망과 실천 사이의 무수히 많은 망설임과 두려움, 겁을 안고 있는 겁쟁이로서의 동료시민들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본문으로]
  3. 신지영, 심아정, 전솔비 외는 난민을 개인/적 사건이 아닌 동시대의 시민이 놓인 공통의 폭력조건/과정으로 읽어내기 위해 '난민화'라는 개념을 제안한 바 있다. 신지영, 심아정, 전솔비 외, 2019, 난민, 난민화되는 삶. [본문으로]
  4. 잘 모르겠지만, 무언가를 계속 해나가겠다는 태도는, 정확히 그리고 확실히 알아야만 무언가를 할 수 있다/혹은 하겠다는 신념을 돌파하는 윤리다. 작은 빛이 공연의 시작부터 끝까지 자기 자신들에게 부여한 이와 같은 위치성을 바라보며, 나는 도미야마 이치로의 질문과 그것을 관찰한 정정훈의 글을 떠올렸다. "도미야마는 오키나와 문제를 연구하고 관련 활동에 참여하면서 연대의 문제를 다른 차원에서 고민해야 할 필요를 느꼈다. 올바른 연대를 위해서는 올바른 지식이 필요하다는 논의들이 오키나와에 대한 말들 속에서 자주 등장 했다고 한다(정정훈, 2012, 휘말림의 정치학, 7쪽.)." 도미야마는 이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런데 그 말은 나에게, ‘나는 그런 연대에 휘말려 들고 싶지 않다..’는 말처럼 느껴졌습니다. 연대를 말하면서도 휘말려들지 않으려는 것을 보면서, 감히 휘말려들 수 있게 하는 말이 있는 곳에야말로 운동의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입니다. 나는 휘말림을 축으로 생각하고 싶고, 이러한 휘말림을 확보하고 싶습니다. 휘말리지 않았으나 꼭 휘말릴 것 같은 사유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유는 과거, 현재, 미래가 뒤섞인 사유입니다. 이것이 바로 ‘예감’인 것이지요. 바로 옆[인용자: 혹은 과거/미래에나 있음직한 일이 현재가 되는]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남의 일이 아닌 것에 대한 것입니다. 타자와 내가 포개지는 신체감각으로서의 예감을 사유하고 싶었습니다. 휘말려든다는 것은 곁에 있다는 것이고, 이것은 혼재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바로 여기에 정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도미야마 이치로, 7-8)” [본문으로]
  5. 버틀러의 (후기)정치윤리 저서들을 번역해온 양효실은 2018년 9월 즈음. 그와의 포럼을 준비하며 떠오른 (부족한) 나의 질문, 즉 취약성과 의존성이 왜 정치인가? 정치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메세지를 보내주었다. "박탈 수동 실패 상처 상실 윤리 사랑 구원; 근대적 실천윤리의 정반대편이 동시대 실천의 장소라는 이야기죠" [본문으로]